본문 바로가기
IT/Python

[코딩]기본 타입 및 변수의 이해, 데이터 타입과 컬렉션

by icebear3000 2022. 11. 22.
반응형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즉, 저장공간에 값을 저장하고 이름을 지정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대입 연산자

 대입의 경우, 오른쪽의 수식이나 값을 evaluation 한 뒤, 왼쪽에 명시된 변수에 해당 값을 대입한다. 변수는 해당 값을 가지게 된다.

 

comment(주석)
 코드에서 #으로 시작하는 뒷 부분은 실행되지 않는다. python이 소스코드를 실행하면서 #를 만나면 무시한다. 개발자(사람)가 보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변수 선언 및 주석 예시
a= 10  # int 
b = 11.4  # float

print 함수
 함수란 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호출하여 사용가능한 코드블럭이다. 해당 변수의 값을 출력하며 ',' 로 여러 변수를 나열하면 한줄에 출력된다. 기본적으로는 한칸 띄어쓰기 후 출력된다.

 

print함수 설정

  • sep : 구분자, 각 출력할 변수 사이에서 구별하는 역할
  • end : 마지막에 출력할 문자열
print(a,b)
print(a, 10, 200, b)
print(a,b, 10, 100,sep='*',end='!!')

#output

10 11.4
10 10 200 11.4
10*11.4*10*100!!

변수 값 확인법

 print() 함수 사용하거나 변수 값을 코드의 마지막에 위치 시킨 후 실행시키면 된다. 이 경우 output으로 변수의 값이 출력된다.

 

variable naming (변수 이름 규칙)
 숫자로 시작하는 이름을 제외하고 영문 대소문자, _, 숫자로 구성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당 변수를 표현하고자 하는 정확하고 간결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코드를 읽은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ex) a = 100의 경우보다 student_num = 100로 명시한 것이 변수에 대한 이해가 빠르다

 

invalid한 변수 이름의 예

  • 숫자로 시작하는 이름
  • reserved keywords(python에서 미리 선점하여 사용중인 키워드)
  • 변수, 함수, 클래스 등등의 사용자 정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invalid한 변수 이름의 예
3abc = 100
class = 100
for = 100
while = 100

#그래도 사용하려면?
_class = 11
print(_class)

 

기본 데이터 타입

  • 정수 (int)
  • 실수 (float)
  • 문자열 (str)
  • 불리언 (boolean)

type 함수
 해당 변수, 값의 타입(type)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한다.

a = 10
b = 11.4
print(type(a))

#output
<class 'int'>

comparison operator(비교 연산자)
프로그래밍에서는 비교를 할 경우, = 대신 ==를 사용

  • <, > (작다, 크다)
  • <=, >= (작거나 같다, 크거나 같다)
  • == 같다
  • != 같지 않다
  •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bool 타입
a=5
b=4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c=(a==b)
print(type(c))

#output
True
False
False
True
False
True
<class 'bool'>

numbers (숫자형 타입)
 정수, 실수로 구성된다. 수학의 기본 연산자(가감승제) 사용 가능하다. 연산에도 operator priorities (연산자 우선순위)가 있는데 기본적인 수학의 연산자와 동일하다. 강제로 연산을 선수하기 위해선, 괄호()를 사용한다.

a=5
b=4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output
9
1
20
1.25
1
625

a=5
b=4
print(a+b*4)
print((a+b)*4)  

#output
21
36

연습문제 

다음의 각 a값을 출력 했을 때 결과는?

a = 9
print(a)
print(a - 3)
print(a) # 변수의 값은 대입이 발생하기 전에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output
9
6
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