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발표될 두 가지 주요 경제지표(미국 12월 CPI 상승률, 연준 베이지북)에 대해
각각 어떤 의미를 갖고, 발표 이후 달러와 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12월 CPI 상승률 (소비자물가지수)
(1) CPI의 의미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인플레이션 정도를 가늠하는 대표적 지표입니다
- 시장에서는 CPI의 전년 대비 상승률(전년동월대비)과 전월 대비 상승률(전월대비)을 특히 주목합니다
- 전년동월대비 수치는 지난 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줍니다
- 전월대비 수치는 최근 한 달 사이의 물가 변동을 살피는 지표입니다
- 일반적으로 CPI가 예상치를 상회(인플레이션이 더 빠르게 진행)하면, 중앙은행(연준)이 금리 인상 등을 통해 긴축 통화정책을 더욱 강하게 시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반대로 CPI가 예상치를 하회(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완화)하면, 긴축 속도가 늦춰지거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로 전환할 여지가 생기게 됩니다
(2) 발표 시 달러와 채권시장의 움직임
- 달러(USD) 시장
-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높다는 것은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금리가 인상될 전망이 커지면, 달러 가치가 상승(강달러)하기 쉬워집니다
-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고 해석되어, 금리 인상 부담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연준의 긴축 강도가 약해질 수 있어, 달러 가치가 하락(약달러)할 여지가 커집니다
-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 채권시장(국채금리)
-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므로, 시장금리(국채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기 쉽습니다
-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므로, 국채 가격은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 긴축 기조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어, 시장금리(국채금리)는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는 채권 가격 상승으로 연결됩니다
-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2. 미국 연준 베이지북(Federal Reserve Beige Book)
(1) 베이지북의 의미
- 베이지북(Beige Book)은 연준이 연 8차례 공개하는 지역별 경제상황에 대한 종합보고서로, 미국 내 12개 연방준비은행이 담당 지역의 경제활동(소비, 제조업, 고용, 물가 등)에 대해 정성적·정량적 평가를 모은 보고서입니다
- 연준 위원들이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정책 결정을 내릴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됩니다
- 베이지북에서는 각 지역의 기업 및 경제주체들과의 인터뷰, 수요 동향, 임금 상승 압력, 인플레이션 관련 코멘트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다른 경제지표(CPI, 고용지표 등)만큼 즉각적이고 강력한 시장 충격을 주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유추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2) 발표 시 달러와 채권시장의 움직임
- 달러(USD) 시장
- 베이지북은 ‘공식 지표’가 아니라 경기 및 물가 상황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담고 있습니다
- 시장 참가자들은 내용을 통해 연준이 경제를 얼마나 긍정적으로 보는지(경기 확장 국면) 혹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얼마나 큰지 등을 파악하려 합니다
- 만약 베이지북에서 지역 경제의 둔화를 시사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내용이 강조된다면, 긴축 강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달러가 약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반대로 경기 과열 조짐이나 임금 상승 압력 등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해석될 경우,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받아 달러가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채권시장(국채금리)
- 베이지북 내용이 경기 둔화나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언급이 많으면, 채권시장에서는 금리 인상 압력이 줄어든다고 해석하여 채권금리가 하락(채권 가격 상승)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경기 회복세가 견고하고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하면, 추후 금리 인상 지속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여 채권금리가 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취미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비트 영업정지 검토 , 자금세탁방지·KYC 위반 의혹 총정리 (0) | 2025.01.17 |
---|---|
25년 1월 17일 주요 경제지표 , 미국 12월 주택착공건수 , 건축허가건수 , 산업생산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수 (0) | 2025.01.17 |
2025년 1월 14일 경제지표 미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시장이 주목하는 이유 (0) | 2025.01.14 |
이번 주 (25년 1월 13~17일) 주요 경제지표가 달러와 채권에 미치는 영향 (0) | 2025.01.13 |
트럼프의 2025 경제 정책 : 관세, 세제 개혁, 규제 완화의 핵심 포인트 (1) | 2025.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