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경제

2025 다보스포럼 미리보기: 세계경제포럼의 핵심 의제와 참가자

by icebear3000 2025. 1. 20.
반응형

1. 다보스포럼(Davos Forum)이란?

다보스포럼은 매년 스위스 다보스-클로스터스(Davos-Klosters)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연차 총회를 일컫는 말입니다. 전 세계 정부, 기업, 시민사회, 학계, 미디어 등 각 분야의 리더들이 모여 글로벌 이슈를 논의하고 미래 의제를 설정하는 장이 됩니다


2025년 다보스포럼은 2025년 1월 20일부터 1월 24일까지 개최되며, “지능의 시대를 위한 협력(Collaboration for the Intelligent Age)”을 주제로 다양한 세션과 행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2. 2025년 다보스포럼의 주요 의제

올해 다보스포럼의 주제는 총 다섯 가지 핵심 우선순위로 구성됩니다

 

1) 신뢰 회복(Rebuilding Trust)
2) 성장 재구상(Reimagining Growth)
3) 지구 보호(Safeguarding the Planet)
4) 지능의 시대의 산업(Industries in the Intelligent Age)
5) 인재 투자(Investing in People)

 

이들 의제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속가능성과 협업, 그리고 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사회 전반의 발전 전략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것입니다


3. 참가자 규모 및 주요 인사

이번 포럼에는 130여 개국에서 온 약 2,500명의 참가자가 다보스에 모일 예정입니다

  • 정부 지도자: 약 350명 이상의 정부 고위 관계자가 참석하며, 그 중 60여 명은 국가 수반급(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등)으로 알려졌습니다
  • 글로벌 기구 수장: WTO, IMF, NATO, WHO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해 글로벌 현안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 기업 리더: 1,600명이 넘는 비즈니스 리더(CEO 등)가 참여하여 각 산업별 혁신 사례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 시민사회·학계·언론: 시민단체, 대학, 연구소, 언론계 인사들도 참석해 다양한 사회 문제와 해결책을 제안합니다

4. 이번 포럼에서 주목할 만한 핵심 이슈

1) 인공지능(AI)의 영향력 확대

  • 기업 경영부터 일자리, 윤리 이슈까지 AI가 가져올 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예정입니다
  •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의 활용과 윤리적 기준, 노동시장에서의 재교육 문제 등이 주요 세션의 화두로 지목됩니다

2) 기후 위기 대응

  • 탄소 중립, 재생에너지 투자, 생태계 보전 등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모색합니다
  • 녹색 전환을 위한 국제 협력 및 기술혁신 사례 소개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3) 지정학적 갈등 완화

  •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사회의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평화와 안정, 그리고 경제적 연대를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경제 회복과 포용적 성장

  •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기업과 정부가 협업하여 어떻게 회복력을 강화하고, 모든 계층이 혜택을 누리는 ‘포용적 성장’을 이뤄낼지 다룹니다

5) 사회적 포용과 다원성

  • 청년, 여성, 소수자, 토착민 등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 사회적 포용을 높이는 방법을 논의합니다
  • 기후 운동가와 같은 시민활동가들도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합니다

5. 다보스포럼의 특징과 세션 구조

  • 220개 이상의 라이브 세션: 주요 세션들은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 세계에 공개되어, 누구나 관심 분야를 온라인으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콜라보레이션 빌리지(Global Collaboration Village): 확장현실(XR)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 공간에서 이해관계자들이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됩니다
  • 사이드 이벤트: 딜로이트(Deloitte), 올리버 와이먼(Oliver Wyman), 네옴(NEOM) 등 다양한 기업과 단체가 참여해 지속가능성과 기술혁신을 주제로 한 별도 행사를 개최합니다

6. 다보스포럼의 의의와 비판

다보스포럼은 글로벌 리더들이 모여 긴급 현안을 논의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

  • 협력의 장: 정부·기업·시민사회·학계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만나 협업의 가능성을 찾습니다
  • 미래 의제 설정: 매년 선정된 주제와 의제는 그 해 글로벌 경제·정치·사회 방향을 보여주는 바로미터가 됩니다

그러나 배타적이고 기업 친화적이라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됩니다

 

일부에서는 대기업과 영향력 있는 정치 지도자 중심의 ‘폐쇄적 논의’가 과연 실질적이고 공정한 해법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의문을 표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보스포럼이 제공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와 논의의 장은 글로벌 이슈 해결에 계속해서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7. 마무리

2025년 다보스포럼은 ‘지능의 시대를 위한 협력’을 내세워 AI 및 기술혁신, 기후 변화, 경제 회복, 사회적 포용 등에 대한 다각도의 해법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전 세계 다양한 리더와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를 어떻게 실현할지 심도 깊게 논의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을 비롯한 혁신 기술의 사회·산업적 파급효과를 다룬다는 점, 그리고 기후 위기경제 불확실성 등의 복합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이 핵심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럼에서 어떤 결론이 도출되고, 그것이 글로벌 정책과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두고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