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월 3일에 발표될 주요 경제지표들을 중심으로, 각 지표가 의미하는 바와 발표 이후 달러 및 채권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일정에는 중국과 미국의 제조업 PMI 관련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각 지표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꼼꼼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1. 1월 차이신 제조업 PMI (발표 시간: 10:45)
차이신 제조업 PMI란? 🏭
차이신(Caixin) 제조업 PMI는 중국 민간 부문, 특히 중소기업 위주의 제조업 현황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정부 공식 PMI와 달리 민간 기업들의 설문을 통해 산출되기 때문에, 때로는 중국 경제의 ‘바닥’이나 ‘진짜’ 경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50 이상: 제조업 활동이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 📈
- 50 미만: 제조업 활동이 수축되고 있음을 의미 📉
시장 반응: 달러 & 채권
- 긍정적 결과(50 이상, 기대치 상회):
- 달러: 중국 경제의 견조함이 부각되면 글로벌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리스크를 감수할 여력이 생깁니다. 이 경우,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는 다소 줄어들어 달러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 채권: 리스크 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되면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매수세가 줄어들어 채권 가격은 하락, 수익률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 부정적 결과(50 미만, 기대치 하회):
- 달러: 중국의 제조업 부진은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자산으로의 피난이 늘어나면서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채권: 불확실성 및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로 몰리면서 채권 가격 상승, 수익률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2. 미국 1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발표 시간: 23:45)
S&P 글로벌 제조업 PMI란? 🌍🏭
S&P 글로벌 제조업 PMI는 미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 및 신흥국 제조업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지표로, 글로벌 제조업 경기를 종합적으로 반영합니다. 이 지표는 국제적인 경제 동향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 세계 투자자들이 주목하며 특히 미국 경제와 연관된 Fed의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시장 반응: 달러 & 채권 💵📊
- 강한 지표(50 이상, 개선세):
- 달러: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제조업 활동이 활기를 띤다면, 경기 과열 우려 및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Fed가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채권: 금리 인상 기대감은 채권 가격을 하락시키고, 수익률 상승을 초래합니다. 📉
- 약한 지표(50 미만, 위축세):
- 달러: 글로벌 제조업의 둔화는 전반적인 경기 침체 우려를 불러일으켜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합니다. 이 경우, 투자자들이 미국 달러와 국채로 몰릴 수 있어 달러 강세와 함께 채권 가격 상승, 수익률 하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채권: 경기 둔화 및 안전자산 선호로 인해 미국 국채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오르고 수익률은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
3. 미국 1월 ISM 제조업 PMI (발표 시간: 00:00) 🇺🇸
ISM 제조업 PMI란? 🏭
미국의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제조업 PMI는 50년 가까운 전통을 자랑하는 주요 경제 지표로, 미국 제조업 현황을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자료입니다
- 50 이상: 제조업 확장, 경제 성장 신호 🚀
- 50 미만: 제조업 수축, 경기 침체 우려 ⚠️
시장 반응: 달러 & 채권 💰📉
- 강한 지표(50 이상, 개선세):
- 달러: 제조업 활동이 활발하다는 신호는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이에 따라 Fed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므로,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 채권: 금리 인상 기대감은 채권 가격을 하락시키고, 수익률 상승을 부추깁니다. 📉
- 약한 지표(50 미만, 위축세):
- 달러: 제조업 부진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켜,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한 자산인 달러로 몰릴 수 있습니다. 💵⬆️
- 채권: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채권 가격 상승과 수익률 하락을 가져올 가능성이 큽니다. 📈📉
종합 정리 📝
2월 3일 발표되는 이 세 가지 제조업 PMI 지표는 각각 중국과 미국의 제조업 현황을 반영하며, 단기적으로는 달러와 채권시장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긍정적 경제 지표 발표 시:
- 달러: 미국 및 글로벌 경제의 강세 기대감에 따라 Fed의 긴축 기대가 부각되어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 💵⬆️
- 채권: 금리 인상 기대감으로 채권 가격 하락, 수익률 상승 📉📊
- 부정적 경제 지표 발표 시:
- 달러: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에 대한 수요 증가 💵⬆️
- 채권: 경기 둔화 우려로 채권 가격 상승, 수익률 하락 📈📉
본 게시글은 투자참고용 정보로, 그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손익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이며, 구체적인 상담이 필요하다면 금융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취미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4일 주요 경제지표 미리보기 , 미국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 12월 JOLTS 구인인원 등 (0) | 2025.02.02 |
---|---|
시장은 2025년 2월 3일 경제 지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 | 2025.02.02 |
1월 31일 경제 지표 미리보기 : 일본 1월 도쿄 CPI , 미국 4분기 고용비용지수 등 (0) | 2025.01.31 |
2025년 1월 31일 핵심 경제 지표 일본 1월 도쿄 CPI , 미국 4분기 고용비용지수 등 (0) | 2025.01.31 |
달러투자로 환차익 + 이자 수익, 외화 RP가 정답입니다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