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01월 23일(목)에 발표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두 가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하나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이고, 또 하나는 EIA 원유 재고 발표입니다
이 지표들은 금융시장 참여자들이 유심히 지켜보는 지표이자, 발표될 때마다 달러와 채권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곤 하는데요. 그 이유와 함께 시장에 어떤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Initial Jobless Claims)
- 발표 시간: 2025년 01월 23일 (목) 22:30
- 지표 중요도: ★★★ (높음)
1)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란?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매주 발표되는 지표로, 말 그대로 ‘새롭게 실업수당을 청구한 사람들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 지표가 늘어나면 그만큼 경제 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 상태가 된 사람이 많아졌다는 뜻이므로,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면,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줄어든다면 노동시장이 건재하다는 의미가 되겠죠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발표 주기가 짧고(주간), 실업이나 고용 시장 상황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장에서는 이를 ‘선행적 고용 지표’로 인식하고, 전반적인 경기 방향을 예측하는 데에 참고합니다
2) 달러와 채권시장의 움직임
- 달러(USD)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 노동시장이 탄탄하다는 의미이므로, 미국 경제가 비교적 건실하다고 판단해 달러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 경기 둔화 신호로 읽혀 달러가 약세를 보이거나 적어도 상승 탄력이 제한될 가능성이 큽니다
- 채권(국채)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예상보다 낮은 실업수당 청구건수: 고용이 견조하면 경기 과열이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부각될 수 있어, 금리가 상승(채권 가격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예상보다 높은 실업수당 청구건수: 경기 둔화를 시사하므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채권)으로 몰리면서 채권 가격이 상승(금리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2. 미국 EIA 원유 재고 (EIA Crude Oil Inventories)
- 발표 시간: 2025년 01월 24일 (금) 02:00
(이전 날짜 기준으로 보면 1월 23일 늦은 밤에 발표되는 셈이지만, 정확히는 24일 02시입니다.) - 지표 중요도: ★★★ (높음)
1) EIA 원유 재고란?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서 발표하는 원유 재고는 미국 내의 상업적 원유 보유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해당 수치가 시장 예측치와 크게 차이날 경우, 원유 가격뿐 아니라 관련 산업(정유·화학·물류 등) 주가, 그리고 전체 시장 심리에까지 파급 효과를 미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원유 재고가 늘어나면, 공급이 풍부하다는 의미로 유가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재고가 줄어들면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신호로 유가가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경제의 물가나 제조 비용, 기업 이윤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므로, 달러와 채권시장도 이에 반응하게 됩니다
2) 달러와 채권시장의 움직임
- 달러(USD)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원유는 글로벌 교역에서 달러로 결제되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 EIA 재고가 크게 증가하면: 유가 하락 압력이 커지고, 글로벌 경제에 대한 수요 둔화 시그널로 해석될 경우 달러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에너지 가격 하락이 미국 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 시각). 다만 시장이 경기 둔화 쪽으로 해석할 경우, 위험회피 심리가 생겨 달러가 안전자산으로 매수되어 강세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 EIA 재고가 크게 감소하면: 유가가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물가 상승이 예상되면 연준(Fed)의 금리인상 전망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달러 가치가 상승할 여지가 있지만, 원유 가격 급등이 전반적으로 경제를 둔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시장이 복합적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 채권(국채)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원유 재고가 크게 감소해 유가가 급등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자극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에 따라 금리가 상승(채권 가격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재고가 크게 증가해 유가가 하락세를 보인다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어 채권 가격 상승(금리 하락) 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다만 원유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와 전반적인 경기 흐름에 따라 해석이 갈릴 수 있어, 실제 결과는 예측치 대비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시장 환경이 어떤지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지곤 합니다
'취미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은행(BOJ) 금리 인상 , 미국 S&P 글로벌 PMI , 인플레이션 기대치 등 주요 경제 지표 및 시장 반응 (0) | 2025.01.26 |
---|---|
2025년 01월 24일, 놓치지 말아야 할 경제지표 , S&P글로벌 제조업 PMI , 서비스업 PMI , 합성 PMI , 기대인플레이션 등 (1) | 2025.01.22 |
트럼프가 달러 약세를 위해 제2의 플라자 합의를 할수도 있는데, 플라자 합의가 뭔데? (0) | 2025.01.20 |
트럼프 코인 trump coin : 2025년 새롭게 떠오른 밈코인, 바이낸스에서 거래 가능 (0) | 2025.01.20 |
2025년 1월 22일, 주목해야 할 미국 경제지표 경기선행지수 & 20년물 국채 입찰 (0) | 202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