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주식

LS증권 증권사리포트 읽어보기 2025년 1월 자료 : 바이오주와 코스닥 IPO

by icebear3000 2025. 3. 11.
반응형

바이오 투자의 봄이 온다

IT 이후 주목해야 할 BT 섹터와 코스닥 IPO 전망

ls 증권 20250110 IT(AI) 다음 BT(바이오), 코스닥과IPO까지이어질훈풍.pdf
1.04MB

 

IT(AI) 열풍 이후 BT(바이오) 섹터가 코스닥과 IPO 시장의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부터 바이오 섹터의 성장성, 유망 종목, 초보 투자자를 위한 투자 전략까지 알아봅니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IT 다음 BT의 시작점

LS증권리서치센터

CES 2025 이후 곧바로 이어질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1월 13일~16일, 이하 JPMHC)는 바이오 섹터의 중요한 투자 이벤트입니다

 

이 행사는 글로벌 바이오 트렌드와 R&D 현황을 확인하고 대형 제약사들의 투자와 파트너십 확장 기회를 엿볼 수 있는 자리입니다

LS증권리서치센터

최근 바이오 섹터는 지난해부터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으나,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금리 방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소 주춤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국내 바이오 섹터의 경우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던 만큼,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JPMHC 행사에서는 국내 대형 바이오 기업들의 파이프라인 R&D 및 생산시설 준공 현황 발표, 사업 방향성,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이나 기술이전(L/O), 인수합병(M&A) 소식 등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목할 기업들

바이오 섹터가 코스닥과 IPO 시장에 미치는 영향

코스닥 지수의 성장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헬스케어 섹터의 높은 비중입니다. 코스닥 지수에서 헬스케어 섹터는 16%(코스닥 150 기준 38%)를 차지하고 있어, 이 섹터의 상승은 코스닥 지수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가 높았던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 코스닥 지수 상승기를 주도했던 섹터는 대부분 헬스케어 섹터였습니다. 이는 코스닥 지수 구성에서 헬스케어의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코스닥 지수 상승은 IPO(신규 상장) 시장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바이오 섹터의 상승 → 코스닥 지수 상승 → IPO 시장 활성화라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주간 증시 상승 주도업종 TOP3를 살펴보면, 건강관리 업종이 5.4%의 상승률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대한 기대감과 독감 확산 등 질병 관련 이슈가 바이오 업종에 우호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2024년 IPO 리뷰와 주목할 만한 신규 상장 기업

2024년 IPO 시장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IPO 건수는 감소했으나 공모금액 측면에서는 진전을 보였습니다. 다만, 증시 부진의 영향으로 상장 후 수익률은 저조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IPO 시장에서 대체로 IT와 BT가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CES와 JPMHC 행사와 연관된 신규 상장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신규 상장 기업들

바이오 기업 IPO 성공을 위한 체크포인트

바이오 기업들이 IPO 성공을 위해 체크해야 할 5가지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업화 실적: 기술적 차별성과 상장 전 사업화 실적을 명확하게 제시
  2. 임상개발 단계: 국내보다 글로벌 임상이 IPO에서 더 의미를 가짐
  3. 경영진의 전문성: CEO의 전공 분야와 경력, 연구소장의 연구개발 역량과 사업화 경험이 중요
  4. 최대주주 지분율: 상장 이후 안정적인 추가 자금조달을 위한 적정 지분 확보 필요
  5. 주요 투자자 평가: 바이오 업종 관련 전문 투자자의 참여 여부가 중요한 판단 지표

특히 파이프라인의 수보다는 연구 분야의 중요성에 따라 차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는 임상 3상 단계여야 인정받지만, 항체나 RNA의약품처럼 난이도가 높은 기술은 전임상 단계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초보 투자자를 위한 바이오 투자 전략

바이오 섹터에 관심이 있는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투자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1. 대형주 중심 접근법

  • JPMHC와 같은 행사에 공식 초청되어 메인트랙 발표를 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같은 대형주에 우선 주목하세요
  • 이들 기업은 CDMO, ADC 관련 발표를 통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성장 가능성 평가

  • 셀트리온그룹은 2030년까지 매출 10조원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도 공장 규모 확대에 따라 비슷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4년 3.5조원에서 2030년 12조원으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셀트리온의 계획은 장기 투자 관점에서 참고할 만합니다

3. 주요 이벤트 모니터링

  • 바이오 기업들의 임상 결과 발표, 기술이전 소식, 신약 승인 등 주요 이벤트를 주시하세요
  • 유한양행의 경우 J&J와 함께 개발 중인 폐암 신약 임상에서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4. IPO 투자 고려

  • 바이오 분야의 신규 상장 기업, 특히 GLP-1 치료제나 약물전달시스템 등 유망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주목하세요
  • 디앤디파마텍, 넥스트바이오메디컬 같은 기업들이 좋은 예입니다

바이오에서 코스닥, IPO로 이어지는 훈풍

IT와 AI 열풍 이후 바이오 섹터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JPMHC와 같은 글로벌 이벤트, 코스닥 지수에서의 높은 비중, 활발한 IPO 시장 전망 등을 종합해볼 때, 바이오 섹터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보 투자자라면 대형 바이오 기업부터 시작해 점차 이해도를 넓혀가는 것이 좋으며, 기업의 파이프라인, 임상 단계, 경영진의 전문성 등을 체크포인트로 삼아 투자 결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LS증권의 리서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본 게시글은 투자참고용 정보로, 그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손익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이며, 구체적인 상담이 필요하다면 금융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