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verage/와인

레드와인 품종의 특성 총정리

by icebear3000 2023. 6. 2.
반응형

풍미의 교향곡을 풀어내다: 레드와인 품종의 특성

 다양한 와인들이 매력적인 세계를 창조하며, 그 중심에는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샤르도네 등의 이름이 자주 빛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름들은 와인의 참맛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포도 품종들을 대표하는 것이죠. 생각해보면, 우리가 즐겨 먹는 다양한 포도 중 캠벨, 거봉, 샤인머스캣이 각각 그 특유의 맛을 가진 것처럼 와인도 마찬가지입니다. 포도 품종에 따라 와인의 맛과 향이 달라지는데, 품종의 특성을 잘 이해한다면 와인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많은 포도 품종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만 알아두어도 꽤 유용하죠.

레드와인 5가지 종류의 와인이 담긴 잔

 

카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카베르네 소비뇽

 이 포도 품종은 프랑스 보르도 지역, 특히 메독 지역의 원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명성 있고 널리 재배되는 품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그만큼 이 품종이 만들어내는 와인의 품질이 뛰어나기 때문이죠. 메독에서는 다른 포도 품종과 함께 블렌딩에 주로 사용하지만, 미국, 칠레, 호주에서는 이 품종 단독으로 고급 와인을 생산합니다. 이 카베르네 소비뇽은 싹이 늦게 나고 늦게 익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껍질이 두꺼워 해충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납니다.

 

 대체로 블랙커런트블랙체리의 고요한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산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 향을 가지는데, 서늘한 지역에서는 피망 또는 식물성의 향을, 더운 지역에서는 잼과 같은 달콤한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풍미를 선사하는 카베르네 소비뇽은 배수가 잘 되고 자갈이 많은 지역에서 가장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메를로
Merlot

Merlot

 보르도 지역의 와인 품종인 메를로는 그 매력적인 특징으로 인해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멜롯'이라는 발음으로 알려져 있는 이 품종은 전통적으로 카베르네 소비뇽과 블렌딩하여 사용되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단일 품종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메를로는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타닌이 적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완숙한 과실 향이 느껴집니다. 이와 동시에 비교적 숙성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이런 매력적인 특성을 지닌 메를로는 질병에 약하고 특정한 기후와 토양 조건에서만 잘 자라는 등, 재배에 있어서는 카베르네 소비뇽보다 까다로운 품종입니다.

 

서양 자두, 체리, 블랙커런트의 향이 주를 이루는 이 와인은 산지에 따라 그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합니다. 더운 지역에서 재배된 메를로 와인은 스파이시한 캐릭터가 돋보이며, 붉은 꽃 향이 느껴집니다. 반면, 서늘한 지역에서는 바디감이 가볍고 허브 뉘앙스가 강한 스타일로 완성됩니다.

 

피노 누아
Pinot Noir

Pinot Noir

 프랑스 부르고뉴 지역의 피노 누아는 와인 세계에서 가장 섬세한 레드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생종 중 하나로서, 포도 품종 중 '왕'으로 불리는 카베르네 소비뇽과 함께 최고의 레드 품종으로 손꼽힙니다.

 

 잘 익은 피노 누아로 만든 와인은 타닌이 적고 산도가 높으며, 맑고 투명한 루비색을 띠고 있습니다. 낮은 기온에서 재배된 피노 누아는 색깔이 연하고 묽지만, 높은 기온에서 재배된 피노 누아는 과일잼 같은 진한 맛이 나는 스타일로 제조됩니다.

 

 병충해에 약하고 산출량이 적으며, 특정 기후와 토양이 아니면 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부르고뉴산 피노 누아를 최고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으로 부르고뉴 지역 이외의 곳에서도 재배가 활발해지며 와인의 질이 점차 향상되고 있습니다.

 

네비올로 
Nebbiolo

Nebbiolo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의 네비올로는 이 지역의 많은 안개(자욱한 안개, Nebbia)와 수확 시기를 연관짓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피에몬테 토착 품종으로서, 강한 타닌과 산도를 지니고 있어 장기 숙성에 적합합니다.

 

 네비올로는 타르와 가죽 향 그리고 진한 말린 장미 향이 나며, 숙성이 진행될수록 정향, 시나몬, 감초, 송로버섯, 담배 향 등이 느껴집니다. 주로 이탈리아의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지역에서 재배되지만, 호주나 미국에서도 가끔 재배되곤 합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스파나(Spanna)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산지오베제
Sangiovese

Sangiovese

  산지오베제는 고귀한 포도 품종으로, 고대 로마를 떠올리게 하는 이야기를 그려냅니다. '주피터의 피(The Blood of Jupi-ter)'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로마 신 '주 피터(Jove)'와 피를 의미하는 '산기스(Sanguis)'와 흥미롭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포도는 이탈리아의 토스카나피에몬테 지역에서 널리 재배됩니다. 높은 생산량은 저렴한 와인에 풍부하게 존재하지만, 상지오베제의 진정한 매력은 더 세련된 형태에서 펼쳐집니다. 주의 깊은 포도 품종 개량을 통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와 슈퍼 투스칸(Super Tuscan) 같은 탁월한 와인이 만들어집니다.

 산지오베제를 한 모금 마시면, 다양한 맛의 교향곡을 기대해 보십시오. 신맛 나는 체리, 라즈베리, 크랜베리에서부터 강렬한 자두의 파도까지, 매혹적인 맛의 프로필을 만들어냅니다. 타임과 로즈마리 같은 허브 향이 보완하며, 숙성 후에는 가죽, 발사믹, 시가 향의 세련된 끝맛이 생깁니다.

 

템프라니요
Tempranillo

Tempranillo

 스페인 리오하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 토착 품종으로, 가뭄에도 잘 자라며 비교적 빠르게 수확되는 독특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템프라니요 와인은 딸기와 레드 커런트, 그리고 고급 가죽과 흙 같은 땅의 향으로 이루어진 멜로디와 같습니다. 아로마가 부족할 수도 있으므로 종종 그르나슈 품종과 블렌딩해 완성합니다.

 템프라니요가 독특한 점은 강력한 산화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숙성 과정은 조심스런 숙성과 분류의 발레로, 간단하게 6개월부터 긴 기간 동안 48개월의 오크 숙성을 거친 후 추가적인 병입 숙성을 거쳐 출시됩니다.

 흥미롭게도, 템프라니요는 지역마다 다른 이름을 사용합니다. 페네데스 지역에서는 ''울 데 예브레(Ull de Liebre)'라고 불리며, 발데페냐스에서는 '센시벨(Cencibel)'이라고 합니다. 리베라 델 두에로와 토로에서는 '틴토 피노(Tinto Fino)','틴타 델 파이스(Tinta Roriz)'라고 부릅니다.

 

 

시라
Syrah

 와인 여행을 시작하며, 세계적으로 상위 3개의 레드 품종에 들어가는 시라에 주목해봅시다. 프랑스 론 지역에서 기원한 시라는 풍부한 토양과 보살피는 기후가 협력하여 장기간 숙성이 필요한 고품질 와인을 생산하는 곳에서 번성합니다.

 두꺼운 껍질로 덮여있는 시라 포도는 깊고, 어두운 색상을 띠며, 그것이 생산하는 와인의 풍부한 색상과 높은 타닌 함량에 기여합니다. 풍미 프로필은 블랙베리와 검은 자두의 노트가 도드라지게 하고, 따뜻한 흑후추의 향으로 보강합니다.

 호주로 넘어가면 시라(Syrah)의 성격은 미묘하게 시라즈(Shiraz)로 변모합니다. 색상이 더욱 어두워지고 알콜 함량이 더 높아져, Shiraz는 풀 바디 레드 와인으로 나타납니다. 그것의 강렬한 검은 과일 맛과 높은 산도, 강인한 바디는 전 세계 와인 애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프랑스와 호주를 넘어서, 칠레, 미국, 남아프리카 등도 고품질의 시라를 재배하는 데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베르네 프랑
Cabernet Franc

 프랑스 보르도 지역이 원산지로 주로 블렌딩 용으로 사용되지만, 루아르 지역의 와인 제조사들은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100%로 만드는 와인들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카베르네 프랑는 카베르네 소비뇽과 독특한 유전적 연결고리를 공유하며, 본질적으로 그것의 부모 역할을 합니다. 카베르네 소비뇽의 피망 노트는 Cabernet Franc로부터 물려받은 것입니다. 이 포도 품종은 본질적으로 붉은 과일 향을 가지고 있지만,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게 될 경우, 와인은 뚜렷한 채소와 피망 프로필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참고영상

 

 

반응형

'Beverage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의 유형: 컬러에 의한 분류  (0) 2023.06.04
화이트 와인 품종의 특성 총정리  (0) 2023.06.03
와인 디캔터 Decanter  (0) 2023.06.01
와인잔 종류별 명칭  (0) 2023.05.31
와인 잔 부위별 명칭 총정리  (0) 2023.05.29

댓글